미국에서는...

Korean-American 합법 이민자들의 미국 생활 실태(센서스국 발표를 근거로)

rejungna 2008. 12. 18. 08:05

우리 인간은 한 세상을 살다보면 태어나서 자란 익숙하고 정든 고향을 떠나

자의나 타의에 의해서 다른 도시, 지방, 지역 또는 나라로 자신의 삶의 터전을 옮기기도 한다.

그리고, 이런 사람들은 이민자(migrant, immigrant)라고 불린다.

나 역시 그런 사람들 중의 한 사람인 경우로, 

처음 시작될 때에는 자의보다는 타의에 의해서 이루어진 선택으로 언젠고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리라는 굳센 마음이었지만

이제는 이곳서 생을 마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이민자의 삶을 살고있다.

 

자료에 의하면, 한국 역사상 첫 공식 이민의 땅이 바로 미국이라고 한다. 이 사실이 나의 흥미를 고무시켰다.

아름다운 나라, 풍요로운 나라, 초코렛의 나라, 기회가 많은 나라, 일하면 댓가를 받을 수 있는 나라...

이와 같은 긍정적인 이미지 덕분에 경제가 어려운 지금도 연일 온 세상의 사람들은 미국으로 파~란 꿈을 꾸면서 들어오고 있다.

 

 

Korean-American 의 역사

1896 11 2일 하와이주 정부가 한국에서도 노동자를 불러오는 문제를 토의 한 후에 이를 정식으로 승인하고,

3 년 뒤인 1902 년에 하와이 사탕수수농주 협회에서 데슐러(David W. Deshler)를 한국에 보낸 것으로 시작되었다..

그 해의 심한 흉년과 여러 해의 기근으로 고통을 당하는 불쌍한 백성들을 생각한 고종황제께서는 하와이 이민을 허락하셨다.
황제는 중국인도 가기 힘든 미국으로 한국인이 이민을 갈수 있다는 사실에 기뻐하셨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1902 년 12월에  한인 이민 선조자 102 명은 인천항을 떠나 1903 113 일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항에 첫 발을 디뎓다.

이 후로, Korean-American 들은 초기 이민자들의 후손들과

1970 년 중반에 형제 초청을 허락한 새 이민법에 힘입어 쏟아져 들어온 한국 이민자들,

그리고, 최근에 취업 이민과 투자 이민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들어오는 준비된 이민자들과 합해져서 큰 숫자를 자랑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서, LA와 같은 대도시에는 유학생, 여행객, 주재원, 공관원, 불법 체류자들도 많아서

비공식적으로 더 많은 한국인들이 어울려 살고 있으며 영어를 못해도 사는 데에 아무런 지장이 없을 정도가 되었다.

 

시간이 흐를 수록 점점 자리를 잡아가는 미국 속의 한국인들의 실상을 알아볼 수 있는 자료가 발표되었다.

이 데이타를 앍어보면 그들의 정확한 현주소는 아니어도 대략 이들의 미국서의 삶을 조명할 수 있다.

최근 2008 년 12월 8일에 합법적인 한국 이민자(legal Korean-American)에 관한 자료를 연방 센서스국(Census)이 발표했다.

 

한국인들은 계속 미국 이민을 원하는가?

영주권을 받은 후에는 미국으로 귀화해서 시민권을 받는가?

이들의 이민 경제 상태는 어느 수준이며 어느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살고 있나?

나의 궁금한 점을 중심으로 자료를 골라보았다.

 

*2008 년 올해에 영주권을 받은 사람은 20,507 명이라고 한다.

(참고로, 2007년: 16,336명, 2006년: 17,843명, 2005년: 21,566명이다)

이 중에서 취업이민이 14,174명,  가족이민이 4,421명, 종교이민이 1,199명, 투자이민이 693명, 특별이민이 20명 이다.

영주권을 받은 수의 75%는 미국에 와서 신분 변경 방법으로 받았으며

25%인 5,036명은 한국에서 영주권을 취득한 후에 온 사람들이다.

 

*한국인들은 영주권 취득 후에 시민권을 얻을 때까지 평균적으로 6년 걸린다고 한다.

작년 2007년 전체 미국 시민권 귀화자는 660,477 명이며, 이 중에서 한인은 2.7%를 차지하고 국가 순위로는 7번째이다.

*2008년 한인 시민권 취득자는 5,234 명으로 인종 별로 6번째의 순위를 차지한다.

 

*Korean-American 들의 평균 연령은 35세, 전문직이나 세일에 관련된 직업을 가진 이민 1세,

평균(Mean Earning: 소득을 다 더해서 총 한인인구 수로 나눈 것) 연소득은 $79,761 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가구당 중간소득(Medican Household Income: 소득을 나열했을 때에 중간에 오는 숫자)도 $52,013 로

미국인들의 $50,007 를 능가한다.

 

*작년에 탄생된 한인 아기는 19,000명 정도이지만,

연간 약 3만명 정도가 이민을 오기 때문에 이민이 Korean-American 인구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한다.

 

                                            주(state) 별 한인 인구 수와 중간(Median) 소득
  전체 인구수 미국 출생자 해외 출생자 중간소득 
California (캘리포니아주) 414,105 103,852 310,253 54,025
New York (뉴욕주) 132,425 32,846 99,579 50,553
New Jersey (뉴저지주) 85,868 20,504 65,364 69,016
Illinois (일리노이스주) 62,776 16,844 45,932 57,313
Verginia (버지니아주) 61,616 14,081 47,535 64,178
Texas (텍사스주) 59,584 13,180 46,404 41,073
Washington (와싱톤주) 56,732 14,158 42,574 48,511
Georgia (조지아주) 42,760 9,796 32,964 53,968

                                          

                                                대도시(city) 한인들의 인구 수와 생활 실태

  중간 연령 총인구수 미국 출생자 해외출생자 평균수입 중간소득 가구수
Los Angeles (로스엘젤레스) 37.3 276,525 66,221 210,304 79,651 51,268 97,317
New York (뉴욕) 36 190,900 45,598 145,302 90,450 56,621 66,606
Washington DC (와싱톤 디시) 37 71,272 16,269 59,994 92,248 69,037 23,304
Chicago (시카고) 35.8 56,223 15,092 41,131 89,838 60,854 20,020
Seattle (시애틀) 36 45,653 11,313 34,340 69,965 49,108 16,606
San Francisco (샌프란시스코) 34.5 41,088 12,215 28,874 106,060 67,216 14,863

  

(LA  한인 축제 마당에서 한국 음식을 즐기는 Korean-American 들이다) 

 

우연히 읽었던 한국 국무부에서 발표한 기사에 의하면,

2000년 말부터 2008년 11월까지 결혼을 통해서나 동포의 국적 재취득이 아닌 한국에 아무런 연고가 없는 외국인이

순전히 한국을 사랑하여 각고 끝에 한국 국적을 취득한 경우가 510 명이라고 한다.

이 기사를 읽으면서 지난 가을에 한국을 방문했을 때에 들었던 이민자 사목을 하신다는 어느 신부님의 말씀이 떠올랐다.

어느 특정 국가를 다문화 사회라고 규정지으려면 이민자가 총인구의 2.5%를 넘어야하는데,

한국에는 한국인에게 시집을 온 여성들이 많아서 이미 현재 총인구의 2.3% 가 이민자들이라고 말씀하셨다.

 

내가 한국을 떠난 이후로, 단일민족이라고 우기던 나의 조국도 급격하게 문화, 언어와 생김새가 다른 외국인들과 어울려서

살고있는 다문화 사회로 변하고 있다.

 

떠나는 사람과 오는 사람들... 가고 싶지만 못가는 사람들... 오고 싶지만 돌아올 수 없는 사람들...

참으로 삶의 선택이란 오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평생 한 자리를 지키는 사람들은 움직이는 자들이 편하도록 막지도 말고 비평하지도 말아야한다.

점점 좁아지는 세상에서 어떤 이유에서든지 자신이 편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곳을 찿아나서는 용기만으로도

충분히  존경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어디에서 살던지 한국의 이민자들은 자신의 뿌리를 잊지않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한국에 도움이 되는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