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hole world 에는... 29

한국의 창조적인 정치적 시위 문화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24/12/22/world/asia/south-korea-protest-memes.html?smid=em-share Memes, Jokes and Cats: South Koreans Use Parody for Political ProtestAs South Koreans took to the streets this month demanding the ousting of their president, some found an unexpected outlet to express their fury.www.nytimes.com 위의 기사는 12월 22일 자 뉴욕타임즈에 실린 글이며, 내 포스팅은 위의 기사를 기반으로 한다.많은 해외 언론 매체는..

캐나다 북극해 연안 툰드라 지역의 기후 변화

학생 시절 지질 시간에 '툰드라'라는 말을 처음 들었다. 툰드라는 영구 동토(fermafrost)가 있는 극지의 한랭한 지역이다. 영구 동토는 탄소 저장 기능이 있기 때문에 툰드라는 지구 생태계에  중요하다. 하지만, 지난 40년 동안 북극 지방의 온난화는 세계 평균보다 4배나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북극권 툰드라에 속하는 지역에는 그린란드, 캐나다 북부, 알래스카와 시베리아 등이 있다. 영구 동토는 땅의 온도가 연중 0도 이하로 유지되어 지속적으로 얼어있는 땅을 말한다. 최소 2년 이상 얼어 있어야 영구 동토라 할 수 있으며, 두께는 지하 몇 미터에서 수백 미터에 이른다. 보통, 동토층은 토양, 모래, 유기물, 얼음 등이 섞여 수십 만년 동안 얼어 있다. 세계의 동토 1/4이 캐나다에 속하고, 이는 ..

노벨 화학상과 물리상의 주역은 인공지능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과 화학상은 모두 인공지능의 개발과 쓰임새에 관한 업적을 쌓은 인물들에게 돌아갔다. 생물학적 시스템과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컴퓨터 기반의 방법을 적용하는 '계산 생물학(Computational Biology)'에 기여한 사람들이다. 물리학상은 컴퓨터가 인간 두뇌와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한 두 과학자에게, 화학상은 인공지능으로 새로운 단백질을 발명하거나 혹은 기존 단백질의 구조를 밝혀 신약 개발 등에 획기적인 도움을 준 세 명의 연구자에게 돌아갔다.   먼저 물리학상을 받은 존 홉필드(John J. Hopfield)와 제프리 힌튼(Geoffrey E. Hinton)의 경우를 보자. 존 홉필드는 사람 뇌의 신경망에서 영감을 받아 데이터의 패턴을 저장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연상..

인터넷과 언어

인터넷의 등장으로 우리의 삶은 여러 측면에서 변화를 겪었다. 그 중 가장 놀라운 변화는 언어에 대한 것이다. 언어는 살아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인터넷의 보급으로 새로운 표현 방식과 어휘가 등장했고, 문법과 문장 구조(syntax) 또한 재구성됐다. 인터넷은 우리가 소통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문화, 개인적 정체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인터넷으로 비공식적인 소통 방식이 부상했다.소셜미디어, 인스턴트 메시징, 포럼  등 플랫폼의 번창 덕분에 비공식적인 소통 방식이 부상했다. 우리는 문법적 정확성 보다 속도와 간결성을 더욱 우선시 하기 때문에 약어(abbriviation), 두문자어(acronym), 속어(slang)를 쓰려고 한다. "laugh out loud, 크게 웃다"는 LOL으로, "be right..

겨울 바캉스

2023년 성탄절은 지났고 연말이 코앞, 새해가 턱 앞이다. 한 해를 보내면서 후회스럽고 속상한 일도 여럿이고, 마음 깊이 기뻤던 일도 여럿이다. 마음대로 되지않지만 마음을 자유롭게 놓아버리고 싶다. 마음으로 겨울 바캉스를 홀가분히 떠나본다. 얼마 전 첼리스트 요요마가 언론과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음악은 우리를 연결시켜 준다. 악대는 운동 경기를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가고, 전쟁의 진격을 응원한다. 배그파이프는 전쟁, 여흥, 장례식, 그리고 결혼식 등에 두루 쓰인다. 음악이 한 가지 형태가 아니라서 우리는 반응한다. 연주자로서 임무는 청중을 최우선으로 삼아 그들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지금'에 집중해야 힘이 빠지지 않는다. 현재에 머물고 주변에 진심어린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살아..

세계화 후퇴시키는 권위주의

세계화 시대! 그리고 탈세계화 시대! 세계화 시대를 실감한 것이 얼마 전인데 판데믹 이후의 세상은 확연하게 변했다. 불안감만 커졌다. 글로벌 시대가 무색하게 나라마다 무역 장벽을 치고 자국에 유리한 정책을 쏟아낸다. 권위적 정치인들은 세계화의 검은 그늘을 외치며 정권을 잡으면 고통당하는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겠다고 외친다. 이들의 말은 그럴싸해서 소시민의 가슴은 트이는 것 같고 자신을 위해 싸워줄 전사를 만난 것 같다. 하지만 장기 정권을 꿈꾸는 이들의 실체는 우리 보다 자신을 위한 탐욕스러움이어서 실망스럽다. 아래는 2022년 6월 21일 미주 중앙일보에 실렸던 글이다. 미래 비젼을 생각해 걱정을 담은 글이다. https://news.koreadaily.com/2022/06/20/society/opin..

우크라이나의 하이브리드 전쟁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는 것을 바라보는 마음이 찹잡하다. 사람들의 고통과 시련이 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맹 국가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달았다. 같은 민족이지만 강대국 이웃이 내 땅까지 전부 갖겠다고 쳐들어와서 마구잡이로 건물을 폭파하고 미사일을 펑펑 쏘아서 사람들을 죽이는데 관심을 갖거나 도와주는 이웃 국가가 없다면 그 나라는 어떻게 될까? 그 나라가 마치 한국 같아서 생각이 많아진다. 우크라이나는 땅과 하늘에서 싸우고 있지만 컴퓨터 안에서도 전쟁하고 있다. 러시아의 사이버 침투는 무자비하고 파괴적이다. 대선 간섭은 물론이고 정보빼내기, 정보지우기, 교란하기, 가짜정보 이식 등등. 우크라이나가 잘 버티고 또 선제공격도 하고 있지만 계속 그럴 수 있기를 바란다. 아니, 승전하기 바란다. 이런 마..

우리가 우크라이나에 주목하는 까닭

아래 글은 지난 3월 16일 수요일 미주중앙일보에 실린 글이다. 글을 쓰고 내가 붙인 원래 제목은 '유사한 우크라이나와 한국 전쟁'이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우리의 지난 6.25 같아서 마음이 침울하고 복잡했다. 수많은 시민들의 고통, 울부짖음, 죽기 살기로 애국이라는 명목으로 싸워야 하는 군인들, 파괴된 시가지들, 난민 행렬. 특히 침략 군인인 러시아 병사들의 나이가 18, 19세 라는 보도가 더욱 마음을 아프게 했다. 전쟁의 이유와 행선지도 모르는채 푸틴의 명령으로 출격했던 어린 병사들이 우리 국군과 겹쳐졌다. 푸틴은 30년 전에 사라진 소련 연방의 영광을 꿈꾸어서 요즘 같은 정보전 시대에 옆 나라를 침략했다. 이는 어린이들이 놀면서도 하면 안되는 행동이다. 하지만 신문 지면 한계 때문에 감..

2021년 한국방문기

한국에 왔다.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7가지나 되는 서류를 제출하고 자가격리 면제서를 받고 사뿐한 마음으로 비행기를 탔다. LA에 비해서 추운 날씨에 대비한 옷가지도 챙기면서. 그리고 길고 긴 13시간 반 동안 비행기를 타고 드디어 인천 공항에 도착했다. 아래 글은 2021년 12월 1일 미주중앙일보에 실린 내 글을 옮긴 것이다. 한국에 와서 처음 한 두 주 동안 정신없고 조금 혼란스러웠던 마음을 적었다. https://news.koreadaily.com/2021/11/30/society/opinion/20211130190928573.html [열린 광장] 2021년 한국 방문기 news.koreadaily.com 2년 만에 들어선 인천국제공항의 입국 줄은 길었다. 뉴욕발 비행기에 이어서 LA발 비행기가 ..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든 새로운 일상 언어들

코로나바이러스가 침공한 세상은 새로운 세계다. 그래서 우리는 새 세상을 표현하는 새로운 언어가 필요했다. 전례가 없는 일이나 상황을 설명, 소통하려는데 이미 사용되는 단어를 이용하면 간단하겠지만, 불가능할 경우도 많다. 그래서 내 뜻을 전하고 네 말을 알아듣기 위해서 새로운 단어의 필요성이 절실해진다.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새로운 단어들의 특색은 이미 의료진들 사이에서 친숙하게 사용된 용어란 점이다. 이들이 전한 말을 정치가들과 언론이 재차 사용하고 이를 귀담아들은 국민들도 스스럼없이 일상에서 쓰면서 새로운 언어가 빠르게 만들어졌다. COVID19 - 2019년에 창궐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병이란 뜻이다. 세계보건기구 WHO 에서 만들었다. asymptomatic infection - 무증상 감염을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