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ght Brain vs Left Brain test
(우뇌와 좌뇌 움직임 테스트하기)
며칠 전에 딸아이가 아주 신기한 것이 있다면서 나에게 어떤 web site 를 소개했다.
그림을 단순히 쳐다보거나, 다른 생각이나 짓거리을 하면서 곁눈질로 그림을 보면
나의 어느 쪽 뇌가 지금 활동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림의 움직임의 방향을 의도적인 노력으로 이쪽저쪽으로 바꿀 수도 있었다.
정말 신기하였다!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면 호주 News.com.au 의 한 웹 페이지를 볼 수 있다.
당신이 어느 쪽의 뇌를 주로 사용하는 유형의 사람인지 알기 위해서
글로 쓰여진 여러가지의 질문에 대답할 필요도 없이
아래의 움직이는 댄서의 그림을 쳐다보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는 것이다.
http://www.news.com.au/perthnow/story/0,21598,22492511-5005375,00.html
시계 방향으로 그림이 돌면 당신은 우뇌를 주로 쓰는 사람이며
시계의 반대 방향으로 그림이 돌면 당신은 좌뇌를 주로 사용하는 사람이다.
위의 그림을 쳐다봄으로써 당신이 어떤 형의 brain user 인지를 알아냈는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좌뇌를 주로 쓴다고 하는데 저와 저의 집 식구들은 전부 우뇌형이더군요.
정말 뜻밖이었습니다.
저는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으로 지적이고 딱딱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던 사람이기에
좌뇌형이라고 믿고있었기 때문입니다.
엔지니어를 전공한 남편, 철학과 뇌신경학을 전공하고 의대에 다니는 아들, 미술과 패션을 전공하는
딸, 문학과 회계를 전공한 저 모두 다 우뇌형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뇌의 사용은:
양쪽 뇌가 coordinate(상호 협동적으로) 해서 두개의 뇌를 동시에 최대한으로 사용하는
whole-brained 화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나는 주로 사용하는 쪽(우뇌)이 아닌 다른 쪽의 뇌(좌뇌)를 황성화시키고 싶어서,
간단한 생각, 물품들의 이름을 상기, 숫자의 계산으로 좌뇌를 움직이려고 노력하였습니다.
그랬더니 그림이 이제는 시계의 반대 방향으로 돌기 시작했습니다.
전뇌를 사용하기 위해서
함께 좌뇌형은 우뇌를, 우뇌형은 좌뇌를 능률적으로 활용하도록 훈련을 해 볼까요!
우선 아래의 좌뇌와 우뇌의 특징적 성격을 읽어보세요.
LEFT BRAIN FUNCTIONS uses logic detail oriented facts rule words and language present and past math and science can comprehend knowing acknowledges order/pattern perception knows object name reality based forms strategies practical safe (안전을 추구) |
RIGHT BRAIN FUNCTIONS uses feeling "big picture" oriented imagination rules symbols and images (상징과 이미지) present and future philosophy & religion can "get it" (i.e. meaning) believes appreciates spatial perception knows object function fantasy based presents possibilities impeteous risk taking (위험 감수) |
<나의 실험>
활용하고 싶은 쪽 뇌의 특성을 염두에 두고 이를 실행하도록 훈련을 합니다.
1. 그림이 시계 방향으로 도는 사람은(우뇌를 주로 쓰는 사람):
숫자를 계산하거나, 과거의 일을 자세히 떠올려보거나, 글을 읽으면서 집중해보거나,
알고 있는 지식을 머리 속으로 음미해보거나, 생각을 표현하는 글을 쓰거나하면
그림이 시계 방향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도는 것을 볼 수 있다.
2. 시계의 반대 방향으로 도는 사람은(죄뇌를 주로 쓰는 사람):
감성적이 되려고 생각을 하거나, 미래에 대한 꿈을 그리거나,
누군가를 생각하고 그 사람에 대한 감정을 느껴보거나, 공간적인 그림을 그려보면
그림이 시계 방향으로 돌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 친구와 두 사람이 동시에 이 그림을 보더라도:
두 사람의 뇌의 사용에 따라서 각기 다른 그림을 본다.
즉, 나는 시계 방향으로 도는 그림을 보지만 친구는 바로 내 옆에서 똑같은 그림을
시계의 반대 방향으로 도는 그림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양쪽 뇌의 싸움>
양쪽 뇌는 아주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한쪽 뇌가 중요시하는 것을 다른 쪽 뇌는 간과한다.
가끔의 불일치를 우뇌가 강하게 반발하면 큰 감정적인 혼란을 겪기도 한다.
우리의 뇌는 들어오는 data 를 한쪽 뇌로만 인지하려고 하기도 하고,
이쪽저쪽으로 뇌의 기능을 옮기기도 하지만 이것은 효율적인 뇌의 사용이 아니라고 한다.
두 뇌 사이의 불협화음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뇌를 적절하게 사용치 못하고 있다.
가끔 우뇌를 사용해야할 기능을,
대신 좌뇌를 사용하기 때문에 능력발휘를 못하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두 뇌가 충돌하면 거의 좌뇌가 이긴다고 한다.
힘센 좌뇌를 휴식시키고 우뇌를 좀 더 활동시키는 방법을 고안하기도 한다.
creative writing(창조적 글쓰기) 이 좋은 예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input (정보 입력) 이 없으면 쉽게 무료해지는 좌뇌의 특성 때문에
같은 말을 되풀이하는 meditaion(명상) 을 하거나,
인지 지각할 것이 없는 환경을 창조해 좌뇌를 잠재우기도 한다.
그러면 우뇌가 우리의 의식 속으로 슬그머니 들어와서
우리의 마음을 감정, 감성, 시각을 자극하는 이미지, 자로로운 연상으로 채운다고 한다.
그러나, 대체로 순식간에 좌뇌가 다시 우리의 의식으로
재입장해서 뇌의 주도권을 잡는다고 한다.
어느 쪽의 뇌의 유형이 더 좋다는 정답은 없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독특한 성향에 따라 어느 한 쪽의 뇌를 더 자주 취하곤 한다.
자신이 추구하는 목적의 삶과 하고 싶은 직업관에 맞추어서 우리의 뇌가 쓰이도록 활용하면
더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재미로 양 쪽의 뇌를 함께 쓸수있도록(whole-brained 화) 연습을 하는 것도
퍽 흥미로운 게임이 될 듯하다.
그림을 보시고 알게된 사실이 생각했던 것과 같은가요? 아니면 다른가요?
실험 후에는 두 쪽을 편하게 움직이시게 됐는지요?
'미국에서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대선전에서 비상하는 Barak Obama(바락 오바마) (0) | 2007.12.11 |
---|---|
인간의 수명-누구는 장수하고 누구는 단명할까? (0) | 2007.11.28 |
비타민, 호르몬, 커피들은 이로운 것? 해로운 것? (0) | 2007.09.20 |
미주한인과 미국에 대한 흥미로운 숫자들 (0) | 2007.09.15 |
밥맛 없는 직장 상사(bad boss) 이야기들 (0) | 2007.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