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에 이 블로그에 신경숙씨의 소설 "엄마를 부탁해'를 읽고 독후감 처럼 느낌을 포스팅한 적이 있다.
http://blog.daum.net/la_regina/7153638
올 4월에 이 책이 미국 Konpf 출판사를 통해서 영어로 번역되어 "Please look after Mom" 이란 제목으로 출간되는 때문인지 우연히
이 포스팅을 읽은 분들이 약간 더 많아졌었다. 들리는 소식에 의하면 우선 100,000부를 출간하는데 벌써 재판을 찍고있다고 한다.
나도 이 기쁜 소식에 관심이 있는 사람으로 영어번역 책의 성공을 빌면서 엘에이타임즈와 뉴욕타임즈 기사와 서평을 비롯하여 다른
언론에 실렸던 기사 여러 글을 읽었다. 한 마디로 아주 좋은 호평을 받고있다.
몇몇 비평가들의 의견을 내 나름대로 종합해 본다면:
몇 군데 약간의 무리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잘 번역된 책이다. 내용은
간단하지만 문화와 언어가 다른 모든 민족의 가슴을 울릴 수 있는 엄마가
소재이므로 감동을 얻기 쉽다. 책을 통해서 독자는 지금의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국전쟁이 끝난지 60여년 만에 세계
13위의 산업국가로 발돋움한 한국이 더 안정된 사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이겨내야하는 과도기적인 현상이 있다. 시골과 도시, 낡은 것과
새 것, 노인과 젊은이의 격차와 인식의 변화다. 서울역에서 아픈 엄마를
잃어버린 후에 가족들 4명이 각자 자신들만의 기억 속에 있는 고유한
"엄마"를 반성과 자책으로 독백한다. 그리고 죽은 엄마 자신의 이야기도
곁들여진다.
이 책을 읽고나면 엄마에게 전화를 걸어서 목소리를 듣고 싶고
엄마가 아직 그 곳에 계신지 확인하고 싶어질 것이다.
꼭 읽어 볼 것을 권한다.
아래 글은 2011년 4월 3일 뉴욕타임즈 일요일 책소개(Sunday Book Review) 난에 실린 글을 복사한 것이다.
A Woman Goes Missing in Seoul(서울서 실종된 어느 여인)
By MYTHILI G. RAO Published: April 1, 2011
The eldest daughter, Chi-hon, is the writer of her family, and she is persuaded to draft the missing-person fliers. “Appearance: Short,
salt-and-pepper permed hair, prominent cheekbones,” she writes, “last seen wearing a sky-blue shirt, a white jacket and a beige
pleated skirt.” When Chi-hon thinks back on the Mom of her childhood, she sees a woman who “strode through the sea of people
in a way that would intimidate even the authoritative buildings looking on from above.” The strangers who respond to her ads paint
a different picture: “They saw an old woman walking very slowly, sometimes sitting . . . or standing vacantly.”
Could it be the same woman?
(큰딸은 작가인데 실종자를 찿는 전단지에 다음과 같이 글을 썼다. "외모: 키는 작고 머리는 쉬었으며 광대뼈가 나왔다.
실종 시에는 하늘색의 셔츠와 하얀 자켓, 베이지색 주름치마를 입었다" 딸의 어린 시절에 기억되는 엄마는 웅장한 건물까지도
제압해버릴 태도로 많은 사람들을 뚫고 걸어가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실종 광고을 읽고 연락해온 사람들은 전혀 다른 사람을
묘사한다. "그들이 보았던 사람은 아주 천천히 걷거나, 어디에 앉아있거나, 혹은 정신나간 듯이 서있던 사람이었다."
같은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Shin’s novel, her first to be translated into English, embraces multiplicity. It is told from the perspectives of four members of the family,
and from their memories emerges a portrait of a heroically selfless and industrious woman. She runs their rural home “like a factory.”
She sews and knits and tills the fields, and raises puppies, piglets, ducklings and chickens. The family is poor, but she sees to it that
her children’s bellies are filled, their tuition fees paid.
(신경숙씨의 작품 중 처음으로 영역된 이 소설은 여러 명이 이야기한다. 식구들 4명의 관점에서 이들의 기억 속에 있는 희생적이며
억척스러운 엄마가 드러난다. 엄마는 시골집을 마치 공장 운영하 듯이 하였으며, 재봉질, 바느질, 농사일은 물론 강아지, 돼지,
오리와 닭도 사육했다. 가계는 가난했지만 자식들 배곪지 않않고 등록금을 꼭 주었다.)
Only after her children grow up and leave their home in Chongup does Mom’s strength and purposefulness begin to flag. When
Chi-hon visits unannounced, she finds the house in shambles and Mom suffering private anguish. The daughter is stunned:
“Mom got headaches? So severe that she couldn’t even cry?” These are some of the many questions that punctuate her narrative
and lead to a cascade of revelations. Mom’s debilitating headaches are the byproduct of a stroke she told no one about. Other
discoveries come gradually. After one of Chi-hon’s older brothers leaves the village for Seoul, she is responsible for writing letters
to him, dictated by Mom. For years, Chi-hon assumes this is just an additional chore. The reality is revealed in another question
she asks of herself: “When was it you realized that Mom didn’t know how to read?”
(자식들이 성장해서 정읍 고향집을 다 떠난 후에야 엄마의 기운은 약해지고 사는 목적은 바랬다. 갑자기 방문한 큰딸은 허름한
집과 나빠진 건강 때문에 고통당하는 엄마를 본다. 깜짝놀란 딸이 반문한다. "엄마가 두통을 앓고있다고? 너무 아파서 울 지도
못한다고?" 이러한 질문들은 딸의 관찰의 핵심을 찌르는 많은 의문점들의 하나이며 그 해답은 속속 드러난다. 엄마의 골깨지는
듯한 두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은 죄졸증의 후유증이다. 그 외에 다른 사실들도 밝혀진다. 오빠가 서울로 떠난 이래로
오빠에게 보내는 편지를 받아 쓰는 것은 언제나 그 녀의 몫이었다. 오랫동안 이것은 구찮은 일이었다. 하지만, 또 하나의 진실이
딸의 질문으로 밝혀진다. "내가 언제 엄마가 글을 읽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았지?")
Shin’s prose, intimate and hauntingly spare in this translation by Chi-Young Kim, moves from first to second and third person, and
powerfully conveys grief’s bewildering immediacy. Chi-hon’s voice is the novel’s most distinct, but Father’s is the most devastating.
Returning to the house in Chongup, he is “bludgeoned” with Mom’s absence as he realizes that he never fully appreciated her,
this “steadfast tree” at the center of his life — and that all this time he had been in denial over her health’s deterioration.
(친밀하고 절제있게 김지영씨에 의해서 번역된 작가의 글은 일인칭, 이인칭과 삼인칭을 넘나들면서 당혹스럽고 긴박한 슬픔을
심도있게 전한다. 이 중 딸의 목소리가 가장 돋보이지만 아버지가 가장 고통스러워 한다. 고향집으로 돌아간 아버지는 살면서 그 동안
아내에게 충분히 감사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엄마의 부재에 큰 충격을 받는다. 엄마는 아버지 삶의 가운데를 받쳐주는
뿌리깊은 나무였다. 지금껏 아버지는 엄마의 건강 악화를 부정하고 있었던 것이다.)
“The word ‘Mom’ is familiar,” Chi-hon observes, “and it hides a plea: Please look after me.” Passages of the novel may cause
the grown children among Shin’s readers to cringe. (“You were the one who always hung up first,” Chi-hon mournfully remembers
of her own behavior. “You would say, ‘Mom, I’ll call you back,’ and then you didn’t.”) And yet this book isn’t as interested
in emotional manipulation as it is in the invisible chasms that open up between people who know one another best.
Who is the missing woman? In this raw tribute to the mysteries of motherhood, only Mom knows.
(딸은 독백한다. "엄마란 단어는 익숙하다. 그 말은 자신을 보살펴달라는 간청을 감추고있다." 다음과 같은 소설 속의 문장들은
작가의 장성한 독자들을 움츠러들게 할 것이다. " 내가 항상 먼저 전화를 끊었지. 딸은 자신의 행동을 슬픈듯이 떠올렸다. 나는
엄마에게 '다시 전화걸께요" 말하곤 걸지를 않았어." 그러나 이 책은 서로를 너무도 잘 아는 사람들 사이에 생기는 보이지않는
균열 같은 교묘한 감정을 그리려고 하지 않았다. 실종된 여인은 어떤 사람이란 말인가? 엄마라는 신비에 대한 적나라한 헌사인
이 책에서 엄마만이 알고있다.)
*뉴욕타임즈는 위의 서평이외도 3월 30일에는 Janet Maslin의 "a Mother's Devotion, a Family's Tearful Regrets" 글을 실었다.
(엄마의 희생, 가족의 눈물어린 후회)
'재밌거나 좋은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동글-30년 만에 받은 편지, by 윤재윤 (0) | 2011.05.09 |
---|---|
봄, 봄... 그리고 강아지 두마리, 릴리와 다비 (0) | 2011.04.15 |
(영화감상) Up in the Air - George Clooney(조지 클루니) (0) | 2010.01.14 |
한국과 미국 스타들의 죽음, 빛남을 돌아보며 2009년과 goodbye (0) | 2009.12.30 |
너(피천득)와 사랑 (0) | 2009.09.12 |